Ryu Yeong-bong
Our daily lives are constantly mixed with objects, organisms, relationships, and emotions, and they have a dynamic nature that breaks and forms.
My work also mixes actions to shake off depression and visual expressions of emotional states that make us feel comfortable in depression.
Among them, this exhibition presents two works based on the themes of ‘music, idols.’
Park So-hee
The Origin (花)
It expresses the contradictory inner side of humans who want to see everything at once while complying with the natural order of life’s blooming and falling. The cross-section that reveals the petals and peduncles wrapped in layers shows where the flower begins to take its current form, and it is a medium that can relieve anxiety about each person’s identity and existence. The scattered pollen signifies the stage of growth to bear fruit, and it is expressed in unchanging gold leaf to represent the ideal of advancing to full maturity.
Through this, I think about life and death, and contemplate what kind of life I should live within the finite flow of time.
Flame
When I look at a blazing flame, I feel calm and strangely stable. This is probably because of the beauty and comfort that comes from the gently swaying shape. The flame shows an elegant movement that flexibly accepts the flow of air while maintaining a vertically straight center. This gentle dynamism acts as a guide that leads the viewer to a deep depth where they can dream.
Lee Yong-eun
Everyone has their own ‘scent’. It can be an olfactory smell, but it can also be a metaphor for the energy of existence. I visualized the invisible scent as a flower and put it in the shape of an elephant. This is called ‘Kkot-kkiri’. ‘Kkot-kkiri’ is simply a collaboration between an elephant and a flower.
I wanted to make myself known by creating a character that is familiar to the public but evokes a uniqueness. That is why elephants are drawn. They are rare animals that are not easily encountered like dogs or cats, but they are large animals that we know very well. The first Kkot-kkiri began by filling the elephant’s tusks with plum blossoms. Starting from the tusks, flowers fill the entire elephant and spread to the surroundings. As the flowers spread, I hope that the good scent they have will have an impact and permeate the surroundings.
As a person who majored in oriental painting, all of my works start with oriental painting materials or techniques. However, I experiment and challenge myself with illustrations, videos, and pop art-style works that go beyond the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style, hoping that my ‘flowers’ will reach the public better.
Lee Chae-hyun
Conveying experiences, memories, and emotions felt in the artist’s life.
Sometimes sharing momentary spatial experiences and emotions that can be ordinary or special.
Inducing people to project ‘the artist’s experienc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nto their own experiences, creating new perspectiv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materials from the East and the West, I hope that everyone can meet in the two-dimensional space that the artist has built with a new perspective and new appreciation.
Jang Jeong-hu
Wonhuchuiyueol (猿猴取月)
‘The moon that a monkey looks at and tries to catch is an illusion reflected in the water.
‘If you forget your place and are blinded by greed, you will try to catch the moon and eventually fall into the water and die.’
Is the moon you are looking at an illusion reflected in water, or is it a real thing that can be reached?
The idiom describes a foolish monkey catching the moon reflected in water, while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 text describes a monkey that has won the moon.
Through this duality that contains such conflicting interpretations in one idiom, I encountered the life of a human struggling to achieve an ideal that may or may not be attainable.
The traces of struggle covered in scratches on an aluminum plate and shining with a brilliant light are a longing and desire for something. However, this goes beyond the ambition of physical achievement and shows the struggle and process of facing the true ideal by burning oneself to empty oneself. It is also a time of practice to break away from popularized orientations and head toward a new place that has never been encountered before.
‘Emptying myself is a further desire to achieve a better ideal.’
If I burn the dizzying thoughts I have drawn in my mind and make them blank, what kind of coincidence will God draw on it? I think that the moment I encounter at that time is the inevitable, the true form that I encounter beyond my own destiny. It will be the moment when I encounter my true ideal.
I wanted to show my current work as the great energy of life that proves that we humans are alive, and as the footsteps of modern people who overcome imperfection and climb the world with sincerity because they are humans.
The scratch drawing expressed on the aluminum plate is the result of the artist’s interpretation of the moonlight in the proverb, the afterimage reflected on the water, and the burning fire containing enlightenment within it, with his sculptural concept.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angle of view, the geometric scratch lines freely expressed on the plate absorb and reflect light, making it look mysterious, and through this, I wanted to show the artist’s unique conceptual beauty. It is also the energy of life that we humans possess, and the essence of the power that contains every moment of the author’s passionate life toward the ideal.
What is the attainment of the ideal?
I ask the audience a question about the destination that we long for and run toward in the time of suffering that unfolds on the border between the illusion and the ideal of water and the moon. What will the end of this beautiful struggle and march of humanity, full of the energy of life engraved on the iron plate, look like?
Today, I burn myself with scratches to get one step closer to the place I have longed for so much.
Jymmi Han
The movie ‘Bohemian Rhapsody’ released in 2018 reminded many people of the group ‘Queen’ and ‘Freddie Mercury’,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did not know ‘Queen’ and ‘Freddie Mercury’ to learn about them. The “Oldies But Goodies” series is a work that I created by exploring my memories (movies, music, TV shows I liked, things I owned, logos and symbols of popular brands at the time, etc.) that come to mind in my daily life, as well as materials I didn’t know well but had heard of, such as famous paintings or songs, and transferring the results onto canvas.
I want to reminisce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se materials that are familiar to the public, and I want to continuously create my own world of art.
류영봉
우리의 일상은
사물, 유기체, 관계와 감정들이 끊임없이 혼재하며 부서졌다
형태를 이루는 운동성을 가진다.
나의 작품
역시 우울감을 떨쳐내기 위한 행위와 우울감 안에서
편안해 하는 감정상태의 시각 표현들이 혼재한다.
그 중 이번전시에는 ‘음악,우상’을 소재로
작업한 두 작품을 선보인다.
박소희
the Origin(花)
인생의 피고 지는 순리에 순응하면서도 그 모든걸 전부 한번에 들여다보고 싶어 하는 인간의 모순적인 내면을
표현한다. 겹겹이 싸여있는
꽃잎과 꽃자루가 그대로 드러나는 단면의 형태는 이 꽃이 지금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어디서부터 시작되는가를 보여주며 각자의 정체성과 존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다. 흩뿌려진 꽃가루는 열매를 맺기 위한 성장의
단계를 의미하는데, 변하지 않는 금박으로 표현하여 완전한 성숙으로 나아가기 위한 이상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하며, 유한한
시간의 흐름 안에서 과연 나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가를 사유한다.
Flame
타오르는 불꽃을 보고 있노라면 차분해지고 묘한 안정감이 든다. 이는 은은하게 흔들리는 형상에서 오는 아름다움과 편안함 때문일 것이다. 불꽃은 수직으로 올곧게
중심을 잡고 있으면서도 공기의 흐름을 유연히 받아들이는 우아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이 잔잔한 역동성은
바라보는 이로 하여금 몽상할 수 있는 깊은 수심으로 이끄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이용은
모든 사람들에게는
각자의 ‘향’이 있다. 후각적인
냄새일 수도 있지만, 존재의 기운을 비유하기도 한다. 보이지
않는 향을 꽃으로 시각화하여 코끼리의 형태 안에 넣었다. 이것을 ‘꽃끼리’라 부른다. ‘꽃끼리’는
단순히 코끼리와 꽃의 콜라보이다.
대중들에게
익숙하지만 독특함을 자아내는 캐릭터를 만들어 나를 알리고 싶었다. 코끼리가 그려지는 것도 그 이유이다. 개나 고양이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보기 드문 동물이지만 우리는 너무 잘 알고 있는 대형 동물이다. 처음의 꽃끼리는 코끼리의 상아에 매화를 채움으로써 시작되었다. 상아부터
시작하여 코끼리 전체에 꽃이 채워지기도 하면서 주변으로 퍼지기도 한다. 꽃이 퍼지며 그 존재가 가지고
있는 좋은 향이 감화력을 가져 주변에게도 스며들기 바라며 작업을 한다.
동양화를 전공하여
모든 작품들은 동양화 재료나 기법으로 출발한다. 하지만 전통 동양화 스타일을 벗어나 동화와 같은 일러스트, 영상, 팝아트 형식의 작품 등으로 실험해보고 도전하며 나의 ‘꽃끼리’가 대중들에게 더 잘 다가갈 수 있도록 기대한다.
이채현
작가의 삶 속에서 느끼는 경험, 기억, 감정의 전달.
때론 평범할 수도, 특별할 수도
있는 찰나의 공간적 경험과 감정을 공유한다.
‘작가의 경험을
서로 다른 관점으로’ 자신의 경험에 투영하도록 유도하며 새로운 시각을 탄생시킨다.
동, 서양의 재료적 조합을 통해
보다 더 새로운 관점, 새로운 감상으로 작가가 구축한 2차원적 공간 속에서 모두가 만날 수 있길 바래본다.
장정후
원후취월(猿猴取月)
‘원숭이가 바라보고 잡으려는 달은 물에 비친 허상이요.
스스로의 분수를 망각하고 욕심에 눈이 멀어 달을 잡으려다 결국 물에 빠져 죽음을 면치 못하리.’
당신이 바라보는 달은 물에 비친 허상인가, 아니면 도달할 수 있는 실체인가.
고사성어는 물에 비친 달을 잡은 어리석은 원숭이의 모습을, 반대로 한자 원문은 달을 쟁취한 원숭이로 표현하고 있다.
나는 하나의 고사성어 속 이처럼 상반된 해석을 동시에 담고 있는 양면성을 통하여, 닿을 수도 혹은 닿지 못할 수도 있는 이상의 쟁취를 향해 사투하는 인간의 삶과
마주하였다.
알루미늄 철판 위에 스크래치로 뒤덮여 화려한 빛을 머금은 투쟁의 흔적들은 무엇에 대한 갈구와 욕망. 허나 이는 물리적인 쟁취라는 야욕을 넘어, 스스로를 태워 비움으로써 참된 이상과 마주하기 위한 몸부림과 그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대중화된 지향을 타파하여 마주한 적 없던 새로운 어딘가를 향한 수행의 시간이다.
‘나를 비운다는 것은 더 나은 이상의 쟁취를 향한 더 나아간 욕망이다.’
마음속에 그려놓은 어지러운 상념들을 태워 백지화 한다면, 신께선 과연 그 위에 어떤 우연이란 절경을 그려주실까? 그 때 마주한 어떤 순간이야말로 필연이며, 우리들 각자의 운명을 넘어서 마주한 참된 양식. 진정한 이상과 조우하는 순간이 될 거라 생각한다.
나는 지금의 작업을 우리 인간이 가진 살아있음을 증명하는 위대한 삶의 에너지로써, 그리고 인간이었기에 불완전함을 극복하고 진중하게 세상을 등반하는 현대인의 발자취로써
보여주고자 하였다.
알루미늄 철판 위에 표현된 스크래치 드로잉은, 고사성어 속의 달빛이자 물에 비친 잔상 그리고 그 안에서 깨달음을 담은 타오르는 불의 형상을 작가의 조형 관념으로 해석한 결과물이다. 보이는 위치와 각도의 따라 철판 위에 자유로이 표현된 기하학적인 스크래치 라인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면서 신비롭게 보이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작가 고유의 관념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이는 우리 인류가 가진 생명의 에너지이자, 이상을 향한 작가 본인의 격정적인 삶의 모든 순간을 담아낸 힘의 골자다.
이상의 도달이란 무엇일까.
나는 관객에게 물과 달이라는 환영(幻影)과 이상(理想)의 경계에서 펼쳐지는 인고의 시간 속, 우리들이 갈망하며 달려가는 그 종착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철판 위에 각인된, 생명의 에너지로 가득한 인류의 이 아름다운
투쟁과 행보의 끝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오늘도 나는 스크래치로 스스로를 태움으로써, 그토록 갈망하였던 어딘가로 한걸음 더 다가가 본다.
지미한
2018년에 개봉했던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룹 ‘Queen’과 ‘Freddie
Mercury’를
추억하게 하고, 혹은 ‘Queen’과 ‘Freddie Mercury’를 잘 알지
못했던 사람들에게는 그들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Oldies
But Goodies”시리즈는
일상생활 속에서 떠오르는 저의 추억들(좋아했던 영화, 음악, TV프로그램, 소유했던
물건들, 당시 유행했던 브랜드의 로고와
기호등)과 잘 알지 못했던, 하지만 한번쯤 들어봤던 명화나
명곡 같은 소재들을
꺼내어 탐닉하면서 나온 결과물들을 캔버스에 옮긴 작업이다.
저는
대중들에게 익숙한 이러한 소재들을 통해 관객들과 함께 추억하고 소통하길
원하며, 끊임없이 저의 작품 세계를 만들어 가기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