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SION9

Expression of Human Finitude from Observation of Finite Objects

In his early works, [Preface to Kantian Anthropology] and [Words and Things], 20th-century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reinterprets the philosophy of German philosopher Immanuel Kant, stating that the condition that grounds finite human cognition is the very finitude that limits humans. In Kant, human theoretical cognition is limited to the realm of experience, so it is represented as a finite being. He explains that the elements that limit this experience are space and time, which are human emotional forms, and categories, which are intellectual forms.



Artist Park So-hee's work begins with a reinterpretation and study of this modern concept of human being. Starting from the artist's empirical cognition, she observes "flowers", which are finite beings, and through this, she conceptualizes and expresses scenes from an omniscient perspective about human finitude.



The Symbol of Vitality and the Times, the Inside of Flowers

The artist confesses that while observing flowers, he encounters “the most splendid result of vitality that can be obtained from nature, and the petals, one by one, formed through the silent struggle to create that result.” The artist’s philosophy begins at the cognitive intersection where the petals symbolize the fierce lives of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including himself.

In fact, the process of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to a flat surface through the act of cutting flowers begins with a change in the artist’s perspective. The movement of the perspective from the subject of observation and living human to an insightful perspective is the context in which the philosophical research stage changes from observation-exploration-interpretation.



The origin of life - Life - Flower - Line Universe, Expansion of the workroom

The artist, who majored in Korean painting and painting conservation and is a cultural property repair technician, also continuously conducts research on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early work began with “soil” in pursuit of the fundamental starting point of “life.” By mixing celadon and white porcelain clay and applying it to the canvas, repeatedly applying and grinding the stone pigment, the artist expresses the cross-section of the flower observed through the repeated practice of gently permeating it with the charm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fter that, the artist expressed the observed subject with a technique that highlights the energy of the flower's vitality through a coloring technique on silk.

The artist went through a direct description stage of the observed subject, reinterpreting the color, shape, line, and scent of the flower with emotional recognition, and connected it to the non-figurative form of the flower series, and expanded the work to the Line Universe series expressed only with color and line as an acknowledgment of the limited finiteness due to the emotional and formal space and time of the object encountered.



ROSY SEQUENCE

This exhibition introduces the process of how artist Park So-hee's figurative expression changes into abstract expression. In particular, the artist's philosophy is densely introduced through the more mature depth and restraint in color. Starting from a superficial observation of a flower, the artist introduces the process of compo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to a plane, dividing the plane into pieces again, rearranging them, and giving new dynamic elements to the divided image. Through this process, the artist shows that the abstract image in the form of the work is ultimately an effort to fully express the essence of the concrete. By cutting and dismantling the flower, withering it, and then blooming it again, and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abstract, the artist attempts to speak of Kant’s “empirical-transcendental double human” as interpreted by Michel Foucault, or in other words,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finite human being, through the artist’s visual expression.



유한적 대상의 관찰로부터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표현

20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초기 저작, [칸트 인간학에 대한 서문]과 [말과 사물]에서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철학을 재해석하는데, 유한한 인간의 인식을 근거 짓는 조건은 인간을 제한하는 바로 그 유한성 자신이라고 말한다. 칸트에서 인간의 이론적 인식은 경험의 영역에 제한되므로 유한한 존재로 나타낸다. 이러한 경험에 제한하는 요소인 인간의 감성형식인 시공간과 지성형식인 범주라고 설명한다.

박소희 작가의 작업은 이러한 근대적 인간개념에 대한 재해석과 연구에서부터 시작한다. 작가의 경험적 인식에서 비롯해, 유한적 존재인 “꽃”을 관찰하여 이를 통해 인간의 유한성에 대하여 전지적 시점으로 장면을 구상하여 표현한다.



생명력과 시대의 상징, 꽃의 내면

작가는 꽃을 관찰하며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생명력의 가장 화려한 결과이자, 그 결과를 만들기 위해 소리 없는 발버둥으로 이루어진 한겹 한겹의 꽃잎들”을 마주한다고 고백한다. 그 꽃잎들이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자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치열한 삶을 표상하는 인지적 교차에서 작가의 철학이 시작된다.

실제로 꽃을 자르는 행위를 통해 입체로 이루어졌던 대상이 평면으로 구현하는 과정은 작가의 시선의 변화가 시작되는데, 관찰의 주체이자 살아가는 인간에서 통찰적 관점으로의 시점 움직임은 철학적 연구단계가 관찰-탐구-해석으로 변화하고 있는 맥락이다.



The origin of life - 삶 - 화(花) - Line Universe, 작업관의 확장

한국화와 회화보존을 전공하고, 문화재수리기능자인 작가는 재료와 기법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함께 진행한다. 초기 작업은 “생명”의 근원적 시작점을 쫓아 “흙”에서 그 작업이 시작되었다. 청자토와 백자토를 섞어 캔버스에 바르고, 석채 안료를 반복적으로 칠하고, 갈아내는 반복적인 수행으로 관찰한 꽃의 단면을 은은하게 스며드는 전통 한국화의 매력으로 표현한다. 이후 작가는 비단에 채색기법을 통해 꽃의 생명력에 대한 에너지를 부각하는 기법으로 관찰 대상을 표현하였다.

작가는 관찰 대상에 직접적인 묘사 단계를 거쳐, 꽃의 색, 형태와 선, 향기 등을 감성적 인식으로 재해석해 비 구상적 형태인 화(花) 시리즈로 연결하여, 마주하는 대상의 감성형식적 시공간에 의해 제한적인 유한성에 대한 인정으로 색과 선으로만 표현된 Line Universe 시리즈로 작업을 확장하였다.



ROSY SEQUENCE

이번 전시는 박소희 작가의 구상적 표현이 어떻게 추상적 표현으로 변화해 가는지에 대한 과정을 소개한다. 특히 색에 대한 한겹 더 성숙해진 깊이감과 절제감이 작가의 철학을 밀도 높게 소개한다.

꽃에 대한 표면적 관찰에서 시작해 입체의 대상을 평면으로 구성하고, 그 평면을 다시 조각으로 나누고 재배치하면서 분할된 이미지의 새로운 동적 요소를 부여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이 과정을 통해 작품의 형식에서 추상적 이미지라는 것은 결국 구상의 본질을 온전히 나타내기 위함이라는 노력을 보여준다.

이렇게 꽃을 자르고 해체하고, 시들게도 했다가 다시 피워내고 구상과 추상을 오가며 작가는 미셸 푸코가 해석한 칸트의 “경험적-초월적 이중체의 인간”, 다시 말해 근대 유한적 인간에 대한 해석을 작가의 시각적 표현으로 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