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ggle towards the ideal
Apr 21 ~ May 10, 2020
MANSION9 Gallery, Seoul
Wonhuchuiwol (猿猴取月)
The moon that a monkey looks at and tries to catch is an illusion reflected in water. If you forget your place and are blinded by greed, you will eventually fall into the water and die trying to catch the moon.
Is the moon (ideal) that you look at an illusion reflected in water, or is it an achievable reality?
The idiom describes the image of a monkey trying to catch the moon reflected in water, while the original Chinese text expresses it as a monkey catching the moon.
Through this duality that contains such conflicting interpretations in a single idiom, I encountered the life of a human who moves forward to achieve an ideal that may or may not be within reach.
The human body works currently on display show the intense struggle of our humanity, who passionately clash with the desire for an ideal and create life at every moment. Their faces and intense gestures, covered with dizzying drawings and scratches soaked in light, project the inner anguish of a human being who swirls and clashes toward a true ideal. I wanted to capture this as a mirror of the times along with the inherent wildness of our human beings.
In the case of the following abstract work, a splendid image of clouds or fish dancing with five colors unfolds as one of the various directions toward the ideal that the artist himself is studying. However, this is not an expression of clouds and fish, but rather a symbol of the inner flame that burns one’s dizzying thoughts with scratches to reach the true ideal. This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liberation to escape from being captured or confined by any form and to fully accept the flow of the coming time and all of nature. If I were to burn the dizzying picture drawn in my mind and make it a blank sheet of paper, what kind of coincidence would God draw on it? I thought that the coincidence we encounter at that time is the moment when we encounter the true ideal that exists in each of our destinies.
All scratch drawings expressed on the iron plate are the result of the artist’s interpretation of the shape of the moon, the surface of water, and the blazing fire containing enlightenment, which symbolize the duality of the idiom. The geometric drawing lines freely expressed on the iron plate, depending on the visible location and angle, absorb and reflect light, making it look mysterious, and through this, the artist tried to show the artist's unique conceptual beauty. Also, this is the energy of life that we humans possess. It is the essence of the power that contains all the moments of the artist's fierce life toward the ideal.
What is the attainment of the ideal?
Is it a physical achievement of something that has been longed for from somewhere in the heart?
Or is it a kind of enlightenment that empties oneself and accepts all the coincidences that one encounters as ideals?
I ask the audience a question about the destination that we long for and run toward in the time of suffering that unfold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llusion and ideal of water and the moon. What will the end of this beautiful challenge and march of humanity, full of the energy of life engraved on the iron plate, look like?
Today, too, I face the door to the ideal that I have been searching for by burning myself with scratches.
원후취월(猿猴取月)
원숭이가 바라보고 잡으려는 달은 물에 비친 허상이요. 스스로의 분수를 망각하고 욕심에 눈이 멀어 달을 잡으려다 결국 물에 빠져 죽음을 면치 못하리.
당신이 바라보는 달(이상)은 물에 비친 허상인가, 아니면 도달할 수 있는 실체인가.
고사성어는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 했던 원숭이의 모습, 반대로 한자 원문은 달을 잡은 원숭이로 표현하고 있다.
나는 하나의 고사성어 속 이처럼 상반된 해석을 동시에 담고 있는 양면성을
통하여, 닿을 수도 혹은 닿지 못할 수도 있는 이상을 쟁취하기 위해 나아가는 인간의 삶과 마주하였다.
현재 선보이고 있는 인체 작업들은 이상을 향한 갈망과 매 순간 격정적으로
부딪치며 삶을 만들어가는 우리 인류의 강렬한 투쟁의 모습을 보여준다. 어지러운 드로잉과 빛을 머금은
스크래치로 뒤덮인 그들의 얼굴과 격렬한 몸짓은, 참된 이상을 향한 휘몰아치고 충돌하는 인간 내면의 번뇌를
투영한다. 나는 이를 우리 인간이 가진 고유의 야성과 더불어 시대의 거울로써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비구상 작업의 경우, 작가
스스로가 연구하는 이상을 향한 다양한 방향 중 하나로써 오색과 함께 구름 혹은 물고기가 춤을 추는 것 같은 화려한 이미지가 펼쳐진다. 허나 이는 구름과 물고기를 표현한 것이 아닌, 어지러운 스스로의
상념을 스크래치로 태워, 진정한 이상에 도달하려는 내면의 불길을 상징한다. 이는 어떠한 형체에 사로잡히거나 갇히는 것을 벗어나며, 다가오는
시간과 모든 자연의 흐름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한 해탈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음속에 그려놓은 어지러운
그림을 태워 백지화 한다면, 그 위에 신께선 과연 어떤 우연이란 절경을 그려주실까? 그때 마주한 우연이야말로 우리들 각자의 운명 속에 존재하는 진정한 이상과 마주하는 순간이라 나는 생각했다.
철판 위에 표현되는 모든 스크래치 드로잉의 경우 고사성어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달과 물의 표면, 그리고 깨달음을 담은 타오르는 불의 형상을 작가의 조형 관념으로 해석한 결과물이다. 보이는 위치와 각도의 따라 철판 위에 자유로이 표현된 기하학적인 드로잉 라인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면서 신비롭게
보이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작가 고유의 관념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이는 우리 인류가 가진 생명의 에너지. 이상을 향한 작가 본인의 치열한 모든 삶의
순간을 담아낸 힘의 골자다.
이상의 도달이란 무엇일까.
마음 어딘가로부터 갈망해온 무엇에 대한 물리적인 쟁취일까.
아니면 스스로를 비우고 마주하는 모든 우연을 이상으로 받아들이는 일종의
깨달음일까.
나는 관객에게 물과 달이라는 환영(幻影)과 이상(理想)의 경계에서
펼쳐지는 인고의 시간 속, 우리들이 갈망하며 달려가는 그 종착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철판 위에 각인된, 생명의 에너지로 가득한 인류의 이 아름다운 도전과
행보의 끝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오늘도 나는 스크래치로 스스로를 태움으로써, 그토록
찾아 헤맨 이상으로의 문과 마주한다